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. 김민지 기자의 휴가로 정치부 최선 기자 나왔습니다. 첫번째 주제 보시죠. '갈라진 한민족?' 오늘 한민족의 하늘이 열린 개천절인데요. <br><br>네, 그런데 여야 정치권은 오늘도 갈라졌습니다. <br> <br>개천절 행사장에서 정진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,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나란히 앉았는데요. <br> <br>어색함이 가득했던 모습 보실까요?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 (오늘)]<br>"홍익인간과 재세이화의 정신으로 대한민국은 더욱 새롭게, 세상은 더욱 이롭게,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 합니다." <br><br>Q. 홍익인간. 널리 세상을 이롭게, 국민 편하게 하는 게 정치의 역할인데요. <br><br>하지만, 여야가 내놓은 개천절 논평엔 상대를 향한 가시로 가득찼는데요. <br><br>국민의힘은 "지혜를 모으기도 부족한 시간이지만 야당은 여전히 당리당략을 위한 국정 훼방에 여념이 없다"고 꼬집었고요, 민주당도 "국민을 이롭게 하는 대통령이 되시길 바란다"며 "하루하루가 걱정스러운데 대통령은 매일 변명을 늘어놓고 있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오늘 열린 고위당정협의회 자리 역시 야당 공세를 막아내기 위한 결의 대회가 됐습니다. <br><br>[김대기 / 대통령 비서실장 (오늘)] <br>"국정감사에서 야당의 공세가 그 어느 때보다 심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. 근거 없는 정략적 공세에 대해서는 내각과 또 여권도 모두 단호하게 대응해주길 바랍니다. (양곡관리법은) 저희 뿐만 아니고 국민 모두가 막아야 되지 않을까". <br><br>Q. 개천절 화합과는 거리가 머네요. 내일 국정감사 시작되면 더 갈라지겠죠. <br><br>정의당의 개천절 논평 한 번 볼까요. <br><br>"정권 탓, 전 정권 탓, 언론 탓, 국민 탓, 남 탓 싸움 속에 국민과 민생은 없다"며 국민의힘과 민주당을 모두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정치권이 화합하는 날은 언제쯤 올 수 있을까요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뒤늦은 필적 조사', 김건희 여사가 보이는데 누구 필적을 조사한 걸까요? <br><br>김건희 여사의 박사 논문을 심사한 위원들입니다.<br> <br>총 5명인데요. <br> <br>민주당 출신의 무소속 민형배 의원이 어제 "김 여사 논문의 심사위원 서명이 한 사람의 것으로 추정된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그 근거로 5명의 서명을 필적 감정한 결과를 제시했는데요.<br> <br>초성 시옷, 히읗, 지읒을 보면 작성 각도가 비슷하다는 겁니다. <br><br>Q. 5명이 서명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한 명이 이름만 바꿔서 다 쓴 거라는 의혹이군요. <br><br>이 의혹은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출마 선언한 직후 제기됐던 의혹인데요. <br> <br>민형배 의원이 다시 꺼내든 거죠. <br><br>교육부는 한 사람이 쓴 게 맞다고 했습니다.<br> <br>조교가 심사위원들 이름을 다 작성한 건 맞지만 심사위원들이 이름 옆에 직접 도장을 찍었기 때문에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Q. 그러니까 이름은 꼭 본인이 안 써도 된다는 거네요. 옆에 도장이 중요하니까요. <br><br>네, 편의를 위해 조교가 미리 적어둔 것일 뿐이고 심사위원 이름을 타이핑하는 것도 일반적이라면서 교육부가 이렇게 다른 논문 사례를 들기도 했죠. <br><br>대통령실은 "이전 정부 교육부에서 아무 하자가 없다고 판단했다"며 "마치 새로운 논란이 있는 것처럼 보도된 것에 유감"을 표했습니다. <br><br>Q. 국민대가 논문 표절 문제 없다고 결론 냈지만 야당은 계속 문제 삼으려는 거군요. <br><br>네, 김 여사의 논문 표절 의혹은 내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도 계속 다뤄질 전망인데요. <br> <br>새로운 의혹은 제기하되, 같은 의혹만 되풀이하는 도돌이표 논쟁은 자제하는 게 어떨까요. (도돌이표) <br><br>Q. 여든 야든 마찬가지죠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